친척 간 올바른 호칭(呼稱)과 촌수(寸數) 정리

정기승 0 14,864 2020.03.12 14:52

친척 간 올바른 호칭(呼稱)

 촌수(寸數) 정리

촌수(寸數)

친족 간 혈통관계를 따질 때

가까운 친척과 먼 친척을 알기 쉽게

 고안 된 숫자 체계로

 친족의 호칭을 대신하기도 하고

 촌수가 적으면 많은 수보다

 근친 관계임을 나타내는

우리민족 고유의 제도입니다.

 

촌수 계산법

촌수는 부부는 촌수가 없으며(무촌)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간에는

 1촌입니다.

형제자매는 2촌이며

직계는 1촌씩 더해지고

 방계는 2촌씩 더해집니다.

간단하게 자주 쓰는 촌수와

호칭을 숙지하고 계시면

도움 될 것 같아

정리 해 보았습니다.

45b8f25a175413ac31186241a23bb9f9_1583992


45b8f25a175413ac31186241a23bb9f9_1583992

 

자기에 대한 호칭 알기

1. , : 웃어른이나 여러사람에게 말할 때

2.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3. 우리 · 저희 : 자기 쪽을 남에게 말할 때

 

부모에 대한 호칭 알기

  

1. 아버지, 어머니 : 자기의 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2. 아버님, 어머님 : 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3. 애비 에미 : 부모가 자녀에게

자기를 지칭할 때

4. 아범, 어멈 ;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손자나

 손녀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

5. 가친(家親), 자친(慈親) : 자기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의 한문 식 지칭

6. 춘부장(椿府丈), 자당님(慈堂) : 남에게

 그의 부모를 한문 식으로 말할 때

7. 부친(父親), 모친(母親) : 남에게 다른

 사람의 부모를 말할 때

8. 현고(顯考), 현비(賢妃) : 축문이나

 지방에 돌아가신 부모를 쓸 때

9. 선친(先親), 선비() : 남에게 자기의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10. 고장(先考丈), 대부인(大夫人) : 남에게

 그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형제 자매간의 호칭 알기 

 

1. 언니 : 여동생이 여자 형을 부를 때

2. 형님 : 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아랫동서가 윗동서를 부를 때

3. : 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말할 때

4. 백씨(伯氏), 중씨(仲氏), 사형(舍兄) :

 자기의 형을 남에게 말할 때

5. , 이름, : 미혼이나 10년 이상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6. 동생, 자네, 이름 : 기혼이나 10년 이내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7. 아우 : 동생의 배우자나 남에게 자기의 동생을 말할 때

8. 아우님, 제씨 : 남에게 그 동생을 말할 때

9. 에미 : 집안의 어른에게 자녀를 둔

 여동생을 말할 때

10. 오빠 : 미혼 여동생이 남자 형을 부를 때

11. 오라버님 : 기혼 여동생이 남자 형을 부를 때

12. 오라비 : 여동생이 집안 어른에게 남자

 형을 말할 때

13. 누나 : 미혼 남동생이 손위 누이부를 때

14. 동생, 자네, 00아버지 : 손위 누이가

기혼인 남동생을 부를 때

 

형제, 자매의 배우자 호칭 알기 

 

1. 아주머니, 형수님 : 시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2. 형수씨 : 남에게 자기의 형수를 말할 때

3. 제수씨 :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4. 제수 : 집안 어른에게 동생 아내를 말할 때

5. 언니 :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6. 올케, 새댁, 자네 :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7. :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8. 매부(妹夫)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자매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9. 자형(姉兄), 매형(妹兄)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10. 서방, 자네 : 누이 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11. 매제(妹弟) : 누이 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12. 형부(兄夫) : 여동생이 여자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기타 친척간의 호칭

1. 할아버지, 할머니 : 조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말할 때

2. 할아버님, 할머님 : 남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와 남편의 조부모를 부를 때

3. 대부(大父), 대모(大母) : 자기 직계 존속과

 8촌 넘는 할아버, 할머니 부를 때

4. 큰아버지,큰어머니 : 아버지 맏이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5. 아저씨, 아주머니 : 아버지와 4촌 이상인

 아버지 세대의 어른과 그 배우자를 부를 때

6. 고모, 고모부 : 아버지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7. 외숙, 외숙모 : 어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8. 이모, 이모부 :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긴글 읽어 주셔 감사합니다.

서울지회 까페지기 회장 정기승 드림.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백과,

           조선향토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친척 간 올바른 호칭(呼稱)과 촌수(寸數) 정리 정기승 2020.03.12 14865
500 십간과 십이지 간지에 의한 육십갑자의 계산 일람표 정기승 2020.03.26 10666
499 부끄럽지만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 수 있을까요? 댓글+5 정광원 2020.06.10 8948
498 알아두면 좋은 친척 간 호칭 상식 정기승 2020.03.03 8491
497 이름(관명)과 호(號)와 자(字)에 대한 이야기 정기승 2020.03.05 8109
496 제례행사 시 축문 낭독(독축) 요령 댓글+2 정기승 2020.04.24 6691
495 뿌리 공원 조성유래 댓글+3 정덕근 2010.02.08 6061
494 전남 여수시 해정 정정호 [동서식당] 댓글+5 정정호 2009.12.18 6034
493 알아두면 좋은 지방과 축문 쓰기와 한자 이해 댓글+2 정기승 2020.04.22 5958
492 공주의 남자"에 나오는 정종의 이해(2) 댓글+1 정기환 2011.09.29 5810
491 각설이 공연 정덕근 2011.10.25 5238
490 공주의 남자에 나오는정종 선조의 이해 정기환 2011.09.29 5232
489 해주정씨대종친회 여주 선영 묘소 및 사우 ,제각 위치 및 축문 내용 안내 정기승 2020.08.21 5194
488 해주정씨의 "분파" 선조 알아 보기 정기승 2020.03.21 5108
487 해주정씨가 경남 진주(晋州)에 세거한 내력(진주지역 선조의 발자취) 정기승 2020.02.25 4821
486 진주시 남강 정월대보름 행사 동영상과 사진 정 대근 2010.03.01 4678
485 한국족보 박물관 정덕근 2010.02.12 4670
484 제2회 효문화 뿌리축제 둘러보기 댓글+1 정덕근 2010.05.01 4637
483 해주정씨대종친회 여주 춘향제 홀기 및 축문 안내 정기승 2020.09.15 4578
482 조선왕조 계도표(수정분)을 올립니다. 정동섭 2010.03.11 4509
481 공주의 남자에서의 선조 정종의 이해3 정기환 2011.09.29 4498
480 천년지기 정덕근 2015.05.04 4448
479 동아배전국수영대회(기범군 자유형50m 경기 영상) 댓글+1 정광섭 2010.05.03 4270
478 제주도 천지연 폭포 관광을 마치고 정 대근 2010.01.19 4216
477 천마의효능 정진섭 2011.08.19 4204

종친회종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