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

정향근 0 2,684 2011.05.13 20:39

겨울은 살이 찌기 쉬운 계절이다. 신진대사가 느려지는 데다 운동량은 적고, 잦은 송년회로 지나치게 많은 열량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비만은 이제 만병의 원인이다. 고혈압·동맥경화증·심장병·당뇨병 등 성인병을 일으키고, 요즘은 암과의 관련성도 제기되고 있다. 여성의 경우엔 생리불순은 물론 불임·자궁질환·골다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비만은 생활습관병이다. 따라서 고칼로리·고지방식을 줄이고, 운동을 강화하면 쉽게 퇴치할 수 있다. 문제는 습관을 바꾸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갑자기 운동을 시작하고, 식욕을 억제하며 식사량을 줄이기란 담배 끊는 것 이상으로 힘들다. 따라서 비만 치료는 행동요법이 반드시 병행해야 성공할 수 있다. 식욕을 억제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해 칼로리 소모를 높이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서금요법은 비만 치료의 행동요법을 도와주는 훌륭한 수단이다.
 우선 식욕 억제를 위해 A12·28(위장점), B24, M4(눌러서 아픈 점)에 순금 침봉으로 10~20초씩 20~30분간 가볍게 접촉한다. 금속돌기의 금색 서암봉 1호를 붙여 줘도 좋다. B24, A28은 시상하부 아래에 있는 포만중추를 자극하는 위치다. 먹고 싶은 생각, 배고픔, 복통 증상이 없어져 식욕 조절에 도움이 된다. 20여 일간 실시하면 저녁을 적게 먹는 습관이 생긴다.

htm_2007121616221970007400-001.JPG


 배에 냉증이 심한 복부비만인 사람에겐 위·대장 상응 부위인 A6·8·10·12와 E22, 신진대사를 촉진하기 위한 E44, F3을 추천한다. 금침봉으로 가볍게 압박하기를 10~20초씩 반복한다. 시간은 30~40분. 또 금색돌기 서암봉 6호와 8호를 A8에 붙여 준다. 저녁에 붙이고 잔 다음 아침에 뗀다. 배가 차고, 많은 양의 숙변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붙이고 생활해도 좋다. 그러면 복부가 따뜻해지면서 체지방 분해와 숙변제거에 도움을 준다. 서암뜸은 매일 5장 이상 떠 줄 때 효과를 높인다. 이처럼 6개월에서 1년 이상 실시하면 정상 체중으로 돌아갈 수 있다.

 

 

파명 : 삼옥공파

이름 : 정향근(鄭香根)  인천거주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6 공주의 남자에 나오는정종 선조의 이해 정기환 2011.09.29 5256
125 조상님들의 수난 정기환 2011.09.15 3411
124 ♣ 민들레의 약리작용 정진섭 2011.08.19 2808
123 천마의효능 정진섭 2011.08.19 4218
122 한 세상 살다 가는 .... 정진섭 2011.08.17 2916
121 감동을 느껴보세요. 댓글+1 정덕근 2011.08.16 3350
120 그냥 못 가는 이유... (자작) 정진섭 2011.08.14 2904
119 잔은 비울수록 여유가 있답니다 댓글+1 정진섭 2011.08.14 2786
118 하루에 한번씩 읽어도 좋은 글 정기환 2011.08.01 3002
117 드라마<공주의 남자>鄭悰(조상님)의 아내 경혜공주 이야기 댓글+1 정기섭 2011.07.29 3476
116 뿌리공원 확장 추진 정덕근 2011.07.24 3327
115 人 生 정기권 2011.05.19 3207
114 나 자신이 즐거울 수 있도록 하자 정향근 2011.05.13 2873
113 마음의 꽃 정향근 2011.05.13 2808
열람중 비만치료 정향근 2011.05.13 2685
111 모기, 살충제 대신 화분으로 `일망타진` 정향근 2011.05.07 3084
110 먹을수록 건강해진다! POWER ONION FOOD 정향근 2011.05.07 2876
109 어느 부모님이 자식에게 보낸 편지... 정향근 2011.05.07 3292
108 무소유의 즐거움 정기권 2011.04.14 3400
107 옛날 생각이 나네요.... 정기권 2011.04.02 3053
106 역사의 뒤안길 정덕근 2011.03.23 3244
105 노년에 혼자 잘 사는 방법 정기권 2011.03.19 3408
104 나이를 먹는다는 것에 대한 의미 정기권 2011.03.15 3098
103 젊음을 찾게하는 양파&와인 정기환 2011.03.05 3169
102 겨울에 피는 복수초 정 대근 2011.02.28 3272